
씨포디의 기본 라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레드시프트 고유의 라이트를 사용한다. *상단의 Light Type 은 바꿀수 있다. Add shader Graph 노드베이스의 라이트 셋업을 위한 버튼이다. Preview 속성값은 렌더에 영향을 주지 않고 뷰포트에만 영향을 준다. (고로우셰이딩) General 익숙한 그런 옵션들... Intensity multiplier : 빛의 세기를 강하게 한다. 기본값은 1이며, 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Exposure : 카메라의 F-Stop 값을 조절하는 것과 같아서 전체적인 밝기를 저잘할 수있다. 음수값 존재한다. Decay 대부분 Invers square 옵션을 사용하며, None 의 경우 거리에 따른 밝기의 감쇠가 없으며, 강한 빛을 내보낸다, Linear 의 경우,..
Render setting Basic 샘플링, 필터링, 모션블러, 디노이징 등 기본적인 옵션을 조절한다. AOV 멀티패스를 셋업한다. Optimization 말그대로 씬을 최적화 시킬때 사용한다. GI GI 셋팅과 관련된 탭. Photon Caustics 를 사용할 경우 해당 탭에서 조절할 수 있다. SSS 씬전체의 샘플 오버라이드 모드를 변경하고 싶은경우가 아니라면 거의 사용할 일이 없다. System 렌링과 관련된 시스템 옵션을 변경하는 곳으로 버킷 갯수 라던지 디버깅, 에러관리 등을 설정한다. Memory 기본 설정이 잘 되어있기 때문에 역시나 만지지 않는다. 하지만 본인의 그래픽카드에 맞게 본인이 설정해야 한다. Integration 씬에 필요한 몇가지 다른 옵션이 있다. - 해당 내용은 제가 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프로세싱이 아무래도 디지털 이미징에 특화 되어있다보니 작업하는 공간을 스케치 라고 부름; 이 스케치에 있는 편집창에 코드를 작성해서 재생( ctrl + R ) 하면 결과물이 새창으로 나타나게 됨; 야금야금 프로세싱 이라는 책을 보면서 하나하나 아주 기초부터 알아가려고 메모를 하기 시작함; // 초등생을 위한 책 같음 우선적으로 알아둬야 할건 첫째 좌표 개념. 에펙과 동일하다.우측으로 갈수록 +X 이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Y 이다. 100 X 100 의 사이즈 창에서 ( 0,0 ) 은 왼쪽 상단 모서리가 되고( 50,50 ) 은 창의 중간이 되고( 100,100 ) 은 오른쪽 하단 모서리가 된다. 둘째 우선순위?개념 코드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화면에서는 최상단에 표시된다. 아래에 있을수록 위에 쌓이는 것 같..
- Total
- Today
- Yesterday
- #trampoline
- AfterEffects
- Red
- AE
- 5.0
- mograph
- MOCAP
- minion
- nateon
- 아이파이
- Motion graphic
- 러버호스
- 모션그래픽
- 네이트온
- kinect
- making of
- Breakdown
- #animated
- 네이트
- 모션캡쳐
- expression
- 튜토를이해하자
- tutorial
- Cinema4d
- Redshift
- 다운그레이드
- ipi
- C4D
- motion capture
- 랜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