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로세싱이 아무래도 디지털 이미징에 특화 되어있다보니 작업하는 공간을 스케치 라고 부름;
이 스케치에 있는 편집창에 코드를 작성해서 재생( ctrl + R ) 하면 결과물이 새창으로 나타나게 됨;
야금야금 프로세싱 이라는 책을 보면서 하나하나 아주 기초부터 알아가려고 메모를 하기 시작함; // 초등생을 위한 책 같음
우선적으로 알아둬야 할건
첫째 좌표 개념.
에펙과 동일하다.
우측으로 갈수록 +X 이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Y 이다.
100 X 100 의 사이즈 창에서
( 0,0 ) 은 왼쪽 상단 모서리가 되고
( 50,50 ) 은 창의 중간이 되고
( 100,100 ) 은 오른쪽 하단 모서리가 된다.
라인 만들기
line( x 시작좌표 , y 시작좌표 , x 시작좌표 , y 시작좌표 );
라인의 두께
strokeWeight(숫자); // 스트록 컬러는 모르겠음
사각형 만들기
rect( 사각형이 시작될 x 좌표 , y 좌표 , 넓이 , 높이 ); // rectangle
원형 만들기
ellipse( 원형의 중심이 될 x 좌표 , y 좌표 , 넓이 , 높이 );
사각형에 색 채우기
fill(); // 괄호에는 (0)~(255) 까지의 한가지 숫자 또는 (0,0,0) 과 같은 R,G,B 값 또는 ( 컬러 코드 ) 를 넣을 수 있다.
배경 색 채우기
background(); // fill(); 과 동일함.
이 상태를 가지고 텔레비젼을 그릴 수 있음.
편집창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입력함.
size(300,300); // 출력되는 창의 크기를 결정함
background(#744486); // 배경색을 지정함.
strokeWeight(8); // 스트록의 두께를 지정
line(80,230,70,280); // 지정된 스트로크의 두께로 라인을 그림
line(200,230,210,280); // 지정된 스트로크의 두께로 라인을 그림
strokeWeight(4); // 스트록의 두께를 지정. 이렇게 되면 이후 만들어 지는 도형의 스트로크에 대해서는 지금 지정한 값을 따름.
line(100,40,140,80); // 새로 지정된 스트로크의 두께로 라인을 그림
line(150,40,140,80); // 새로 지정된 스트로크의 두께로 라인을 그림
fill(#11DCF5); // 아래 닫힌 도형에 대해서 색을 채운다는 뜻 같음
rect(50,80,180,150); // 위에 fill(); 로 지정한 색으로 사각형 박스를 만듦
fill(#1190F5); // 아래 박스에 대해 색을 지정.
rect(60,90,160,100); // 위에 fill(); 로 지정한 색으로 사각형 박스를 만듦.
fill(#11F55F); // 아래 원에 대해 색을 지정.
ellipse(160,210,10,10); // 위에 fill(); 로 지정한 색으로 사각형 박스를 만듦.
fill(#F5EE11); // 아래 원에 대해 색을 지정.
ellipse(190,210,10,10); // 위에 fill(); 로 지정한 색으로 사각형 박스를 만듦.
- Total
- Today
- Yesterday
- 모션캡쳐
- C4D
- 튜토를이해하자
- Breakdown
- MOCAP
- Cinema4d
- 랜덤
- kinect
- Motion graphic
- tutorial
- 네이트온
- 모션그래픽
- Red
- nateon
- AE
- minion
- AfterEffects
- 5.0
- expression
- 러버호스
- Redshift
- 네이트
- ipi
- 다운그레이드
- motion capture
- #animated
- 아이파이
- #trampoline
- making of
- mograph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