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천의 속성

 

 

# Weft , Warp , Shear/Bias

Weft : 가로 (위사)

Warp : 세로 (경사)

Shear / Bias : 대각선 (전단)

 

# Stretch

Stretch : 신축성을 조절해 줌 (탱탱)

값이 낮을 경우 신축성이 없어져 축 쳐지게 된다. 탱탱함을 잃는다고 보면 될 듯.

 

Shear : 신축성 조절. 패턴의 대각선 방향에 대한 강도를 조절함. 

값을 높일 경우 좀 더 짱짱한 느낌을 만들 수 있음.

Shear 의 값이 Weft 와 Warp 보다 같거나 높을수록 주름이 가는 재질을 만들어 줄 수 있음.
반대로 값이 낮을경우 주름이 없어지고 실크나 저지와 같은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변함.

 

1. Weft & Warp 으로 전체적인 재질의 신축성을 잡아준다.

2. Shear 높여서 주름이 많이 가거나 낮춰서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조절이 가능하다.

 

 

# Bending

Bending : 굽힘강도에 대한 부분임. (뻣뻣함 강도) // 가죽의 경우 천처럼 흐물거리지 않고 잘 굽혀지지 않는데 해당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값이 낮을 경우 잘 굽어 지고 잘 휘어지는(힘없이 늘어지는) 모습으로 바뀜.

(올라가면 뻣뻣, 낮으면 느슨해지고 잘 굽어짐)

 

Bias : Shear 와 같은 역할. 

Bias 의 값이 Weft 와 Warp 보다 같거나 높을수록 가죽처럼 뻣뻣한 느낌을 줄 수 있음.
반대로 값이 낮을경우 그 강도가 약해짐. (Strength 처럼 극적이지는 않음.)

 

 

 

# Buckling

Buckling : 천이 꺽이는 것에 있어 어느 정도 힘이 필요한가?

 

Buckling Ratio : 좌굴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원단이 휘지 않고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그 순간부터 원단이 쉽게 휘어지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함. 좌굴점이 100%에 가까울 수록 실크, 저지와 같이 적은 힘에도 잘 휘어지는 소재가 되며, 0%에 가까울 수록 데님, 울과같이 어느정도 힘을 가해야만 휘어지는 소재가 됨

 

Buckling Stiffness : 좌굴점 강도 - Bending 과 함께 작용됨.

외부의 힘에 의해 원단이 굽는 부분(모서리)에서 전체 Bending 값의 몇 %를 사용할지 조절함.

예를 들어, Bending 값이 60 일 때 Stiffness 를 80 으로 입력하면

원단이 굽는 부분의 실제 강도는 Bending 값 60 의 80% 인 48 이 됨.

즉 Stiffness 의 값이 높을 수록 원단의 모서리 부분이 잘 굽지 않고 값이 낮을 수록 잘 꺽인다.

 

silk 일 때

Buckling Ratio : 낮음

Buckling Stiffness : 높음

 

* Buckling Stiffness 가 높아도 Buckling ratio 가 낮아서 잘 휘어짐. ratio 가 낮을때 Stiffness 값을 조절하는 경우는 미세한 디테일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Denim 일 때

Buckling Ratio : 높음

Buckling Stiffness : 낮음

 

* 여기서 Stiffness 가 높으면 빳빳한 가죽느낌으로 바뀜

 

 

Bias : Shear 와 같은 역할. 

Bias 의 값이 Weft 와 Warp 보다 같거나 높을수록 가죽처럼 뻣뻣한 느낌을 줄 수 있음.
반대로 값이 낮을 경우 그 강도가 약해짐. (Strength 처럼 극적이지는 않음.)

 

 

# Density 

Density : 밀도가 높으면 무겁고, 낮으면 가벼운 느낌. 

# Friction

Frinction : 마찰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