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tudy/Redshift

Redshift - Color Nodes _ 01

ovcos 2019. 9. 16. 23:12

RS material 의 Out 포트의 속성은 RS Color Alpha 로 되어있다. (마우스포인터를 포트에 올려놓으면 cinema4d 상태표시줄로 확인할 수있다.)

해당 속성을 알아보기 전에 Scalar 값을 가지는 속성들에 대해 살펴 본다.

 

RS Abs(scalar) : 1가지 scalar 값을 가지는 float slider 를 호출한다 (-1 , 0 , +1)

RS Vector Abs(vector) : 3가지 scalar 값을 가지는 vector를 호출한다.

RS Color Abs : 3가지 scalar 값을 가지며 더불어 alpha 값까지 포함해 총 4가지 값을 가지고 있다.

 

*RS Abs 의 Out 포트(real)를 RE material 의 diffuse color 포트(vector)에 연결 하면 Grayscale 값의 색상으로 표현된다.

*RS Vector Abs 의 Out 포트(vector)를 RE material 의 diffuse color 포트(vector)에 연결 하면 순서대로 RGB 의 색상에 0~1 까지의 숫자가  0~255 의 색상에 매핑되어 적용된다.

 

반대로 벡터 포트를 리얼에 연결 했을때는반대의 성질을 가진다.

 

 

Scalar / Vector / Color 노드들에서 성질이 비슷한 것들이 있는데 (Bias 나 Abs 같은 것들)

작동 방법이나 성격은 동일하고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른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컬러로 알아본다.

 

 

여기까지가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진입하는 부분이다.

 

 

RS Color Constant

기본적으로 3 컬러값과 1 알파값을 가지고있는 노드이다.

직관적이지만, 알파값을 조절했을때는 반응이 없다.

 

* 바로 Output 노드에 연결 했을때, 다른 재질의 성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발광하지도 않고 반사나 굴절의 성질도 없이 마치 cinema4d 기본 셰이더의 luminance 채널과 비슷하게 표현된다 (*luminance 채널처럼 발광하지는 않는다)

 

RS Color Splitter

Color 값을 RGBA 의 단일 float 값으로 변환시켜 주는 노드이다.

 

RS Color Sub

2가지 Input 노드를 가지고있으면 Input1 로 들어온 이미지를 Input2 의 컬러가 감산(어두워짐)하는 역할을 한다.

Gradient 이미지일경우 색상값이 0~1로 높아질수록 어두운영역이 많아지게 된다.

* 이 경우 어두워진 영역의 색상은 '0' 아니라 음수값를 가질수도 있다.

 

RS Color Abs

음수값을 가지는 숫자를 양수로 전환한다.

 

RS Color Saturate

음수값을 가지는 숫자나 '1' 보다 큰 숫자를 '0' 또는 '1' 로 Clamping 한다.

 

RS Color Correct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색보정에 관여한다.

Gamma : mid tone 의 색상을 변경해 색을 밝혀준거나 어둡게 한다.

Contrast : S-curve 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Hue : 색상을 변경한다,

Saturation : 채도를 변경한다.

Level scale : 명도를 변경한다.

 

RS Color Invert 

color invert

 

RS Color maker

RS Color splitter 와 반대로 분할된 RGBA 채널에서 각각 이미지를 받아 하나로 합쳐주는 역할 을 한다.

 

RS Color Change Range

Xpresso 의 Range mapper 의 Color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Input 색상(이미지) 을 받아서 해당 이미지의 min,max 값을 다른 min,max 로 변경할 수 있다.

 

RS Color Bias

기본적으로는 Color Correct node 에있는 gamma 보정과 동일하다.

 

RS Color Gain

기본적으로는 Color Correct node 에있는 Contrast 보정과 동일하다.

 

* 그래서 Bias 와 Gain 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RS HSV to Color

RS Color maker 를 사용하면 RGB 슬라이더를 이용해 색상을 변경해야하는데 HSV 방식이 편한 사람들에게는 이부분이 어려울 수 가있다. RS Color Maker 또는 RGB 방식을 사용하는 node 와 Output 사이에 해당 노드를 놓아주면,

RGB 슬라이더가 HSV 방식처럼 작동하게 된다. 

*즉 Red = hue , Green = Saturation , Blue = Value 로 적용되며, 

검은색과 흰색 Gradation 이미지를 Red channel 에 연결하고 해당 노드를 통해 변환하게 되면, 검은색과 흰색의 값에 따라 hue 값이 적용돼 무지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RS Color to HSV 역시 반대로 생각하면 되겠다.

 

RS Exp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

................

해당 노드는 0 이 기본 값이고 1의 값을 출력한다. 숫자가 높아질 수록 Y 축으로 기하급수 적으로 수치가 증가 하게 되는데 영상에서는 Light bulb flickering 애니메이션 같이 편차가 큰 숫자의 애니메이션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RS Log (자연로그)

RS Exp 노드의 반대는 RS Log (자연로그) 라는 함수라는데.... 무슨 소린지 모르겠다.

갑자기 왜 나를 힘들게 하는거지?

...

 

-

해당 내용은 제가 강좌를 보고 기억해 두기 위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본문 내용중 강좌와 다른 부분이 존재 할 수 도 있기 때문에 틀린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해 놓도록 하겠습니다.

trpl design studio

-

 

 

 

 

'Study > Redsh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4D 의 Redshift 노드시스템  (0) 2019.12.06
Redshift - Color Nodes _ 02  (0) 2019.10.03
Redshift _ HDRI setting  (0) 2019.08.30
Redshift _ Object tag - Visibility & Curve(spline render)  (0) 2019.08.30
Redshift _ Motion blur setting  (0) 2019.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