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torial/Mograph

4월16일 시청한 시네마포디 튜토리얼

ovcos 2013. 4. 17. 03:05


Quick Tip 5: How to randomly change PSR in clones with fixed step using formula effector from Philipp Pavlov on Vimeo.


포뮬러 수식으로 랜덤한 90도회전값을 갖는 클로너 오브젝트를 만들어 본다.

(포뮬러 수식이 아닌 셰이더 이펙트에 노이즈+컬러라이즈를 통해 같은 결과값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고 헬프에 나와있다)


동영상 요약!!!!


클로너에 오브젝트를 넣고

포뮬러를 적용한다. 

파라미터 속성값 중 우리가 원하는건 90도의 랜덤한 회전값을 원하므로 회전만 체크해준다

HPB 중 Pitch 에 90을 입력한다.

이펙터의 수식을 삭제한다.

이펙터에 trunc(rnd(4)) 수식을 입력한다.

trunc(a) 이것은 정수함수라고 한다. (반올림같은거 없이 그냥 소숫점뒷자리를 없앤 숫자)

rnd(a{;b})는 랜덤 함수로서 a와b 사이에서 랜덤값을 구하는 함수 라고 헬프에 나와있다.

(a{;b})에서 {;b} 가 없는 이유는 잘 모르겠다. 굳이 a와b사이의 값을 구하는 튜토리얼이 아니라서 그런것 같다.

포뮬러를 하나 더 적용해 주고 HPB 중 Banking 부분에 90을 입력해준다.

끝.


동영상에서는 a값에 4를 입력해준 이유

trunc 를 지우고 수식란에 0 , 1 , 2 , 3을 각각 입력해보면 클론들은 다음과 같은 방향을 가르킨다.

0*90=0

1*90=90

2*90=180

3*90=270

*90 은 pitch에 입력한 값을 뜻하는것 같다.

rnd(4)는 0보다 크거나 같고 4보다는 작은 수를 랜덤하게 표시하라는 것같은데

이렇게 된 숫자들중에 정수만을 뽑기위해 trunc 함수를 넣은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0,1,2,3 숫자를 랜덤하게 인덱스에 붙여줄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랜덤한 90도 방향을 가진 클로너를 만들수가 있다.